본문 바로가기

경제 시작하기

#2. GDP/ GNP

 경제에는 영어 약자로 되어있는 용어가 많다. 그중에서도 경제 이야기를 할 때 흔히들 "GDP" 이야기를 많이 한다. 경제에 많은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라도 대부분이 GDP라는 용어는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GDP로 그 나라의 경제적 수준을 판단 내릴 때가 많다. 그렇다면 실제로도 GDP가 높으면 무조건 경제적으로 잘 살고 있는 나라일까? 그리고 GDP는 어떤 영어로 이루어진 단어일까? GDP는 과연 정확히 어떤 것일까? 또한 GDP 이외에는 어떤 경제 용어가 있을까?

 

#GDP

 

GDP란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어로 우리말로 국내총생산이라고 한다. GDP(국내총생산)란 "한 나라의 국경 내에서 일정기간 동안에 새롭게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말한다. 이렇게 말한다면 와 닿지 않을 수 있다. 한 단어씩 나눠서 설명하면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① 한 나라의 국경 내에서 

 GDP(국내총생산)는 한 나라의 국경 내에서 생산된 생산활동(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말한다. 만약 미국 국민이 잠시 한국에서 일한다면 그 사람의 생산활동은 한국 GDP에 포함이 되는 것이다. 

 

② 일정기간 동안에

 GDP는 일정 시점이 아닌 주어진 일정기간에 측정되는 유량(flow)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분기(3개월) 동안 측정한다거나, 1년을 동안 측정한다. 보통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에서 측정하고 있다. 

 

③ 새롭게 생산된

 GDP에는 과거에 생산된 상품 가치는 포함되지 않고, 그 해에 생산된 상품 가치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고 제품은 GDP에 포함되지 않는다.

 

④ 모든

GDP는 합법적으로 판매된 모든 품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불법적으로 생산, 거래되는 마약과 같은 경우에는 측정하기 어려워 포함되지 않는 품목도 있다. 

 

⑤ 최종

 최종재에 쓰이는 중간재는 중간재의 가격이 최종재의 가격에 포함되기 때문에 중간재는 GDP에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예외가 있는데 중간재이지만 당해에 판매되지 않을 경우 최종재로 간주하여 재고투자의 항목으로 GDP에 포함이 된다. 그리고 다음 해에 다른 최종재로 생산되어 판매되면 부가가치액만 그 해의 GDP에 포함된다.

 

⑥ 재화와 서비스의 

 GDP는 보이는 물건(빵, 자동차, 옷 등)과 같은 재화와 보이지 않는 서비스(교육, 의료, 미용 등)도 포함한다. 

 

⑦ 시장가치

GDP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생산물 가치만을 포함하며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가사도우미의 가사서비스는 GDP에 포함이 되지만 가정주부의 가사서비스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농부가 밭에서 재배한 채소를 시장에 판매한 것은 GDP에 포함이 되지만 가정주부가 직접 집에서 길러서 먹은 채소는 GDP는 당연히 포함되지 않는다.

 

#GNP

GNP란 "Gross National Product"의 약어로 우리말로는 국민총생산이라고 한다. GDP와 차이점은 GDP는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국경 안에서 측정하기에 그 나라에 사는 외국인이 일한 생산활동도 포함이 되지만 GNP는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국민에 의해 생산된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말한다. 그래서 GNP는 외국에 살고있지만 GNP를 측정하려는 나라의 국민의 생산활동도 포함하고 있다.  반면 GNP를 측정하려고 하는 나라에 사는 외국인의 생산활동은 포함하지 않는다. 

'경제 시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경제 주체/ 경제 순환  (0) 2020.09.03